매일 출퇴근하며 지하철을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지하철 요금 인상 소식이 꽤 부담스럽게 다가옵니다. 특히 2025년 6월부터 적용되는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은 성인, 청소년, 어린이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데요.
이번 글에서는 인상된 요금, 인상 이유, 그리고 교통비를 조금이라도 절약할 수 있는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했습니다.

2025년 수도권 지하철 요금, 얼마나 올랐나?
2025년 6월 28일부터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아래와 같이 인상되었습니다.
인상 요금표 (교통카드 기준)
- 성인: 1,550원 (기존 1,400원 → 150원 인상)
- 청소년: 900원 (기존 800원 → 100원 인상)
- 어린이: 550원 (기존 500원 → 50원 인상)
현금 1회권은 성인·청소년 모두 1,65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 거리에 따른 추가 요금과 환승 할인 구조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.
왜 지하철 요금이 인상되었을까?
서울교통공사를 포함한 수도권 운영기관의 누적 적자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. 2024년 서울교통공사만 해도 순손실이 약 7,241억 원, 누적 부채는 18조 원에 달했습니다. 이런 적자와 더불어 노후화된 시설 교체, 승강설비 및 신호장치 개선, 안전 투자 등이 이번 요금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
무임승차 문제도 주요 원인
또한 65세 이상 무임승차 손실만 해도 연간 약 4,000억 원에 달한다고 하니, 요금 현실화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.
지하철 요금 인상, 어떻게 대비할까?
1. 정기권 혹은 기후동행카드 활용
서울시 기후동행카드는 한 달 6만 5천 원으로 무제한 이용 가능해, 매일 출퇴근 시 교통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2. 정부 K-패스 환급 혜택 확인
만 19~34세 청년 및 저소득층 대상으로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20~53% 환급 혜택이 있습니다. 본인 해당 여부를 꼭 확인해보세요.
3. 단거리 이동은 공유 모빌리티
5km 이하 이동 시 전동킥보드, 공유 자전거, 도보 등을 이용하면 체감 교통비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.
4. 환승 할인 최대 활용
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하면 기본요금보다 저렴하게 이동할 수 있으니, 최적의 경로를 미리 앱으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앞으로 추가 인상 가능성도?
서울시는 이번 요금 인상으로 약 1,600억 원의 추가 수입을 예상하고 있지만, 만성적자 구조를 완전히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앞으로도 지하철 및 버스 요금 추가 인상이 있을 수 있으니, 교통비 절약 방안을 꾸준히 챙겨야겠습니다.
마무리 – 교통비 절약, 지금부터 준비하세요
지하철 요금 인상은 매달 고정 지출에 영향을 주는 만큼, 정기권, 기후동행카드, K-패스 환급 등 혜택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앞으로의 대중교통 정책 변화도 계속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지하철 요금 인상 소식, 도움이 되셨나요? 다른 교통비 절약 팁도 곧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즐겨찾기 해두세요!